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2025년 1월 말 기준 주택 시장 동향 분석 – 인허가, 분양, 미분양 현황

by atoprea 2025. 3. 4.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부동산 시장에 관심이 많은 분들을 위해 2025년 1월 국토교통부 주택 통계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번 통계를 통해 주택 인허가, 착공, 분양, 준공, 미분양, 거래량 등의 변화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특히,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차이를 비교하여 앞으로의 부동산 시장 전망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2025년 1월 주택 인허가 현황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22,452호로 전월 대비 85.5% 감소, 전년 대비 13.0% 감소했습니다.

수도권: 15,128호 (전년 대비 37.9% 증가 / 전월 대비 86.5% 감소)
서울: 2,783호 (전년 대비 11.3% 증가)
비수도권: 7,324호 (전년 대비 50.7% 감소)
이처럼 수도권의 인허가는 증가했지만, 비수도권의 감소폭이 커서 전체적으로 하락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2. 주택 착공 실적
2025년 1월 전국 주택 착공 물량은 10,178호로 전월 대비 84.4% 감소, 전년 대비 55.7% 감소했습니다.

수도권: 3,985호 (전년 대비 68.4% 감소)
서울: 2,044호 (전년 대비 56.5% 증가)
비수도권: 6,193호 (전년 대비 40.1% 감소)
이는 전반적인 부동산 경기 위축과 건설사의 분양 리스크 회피 전략이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3. 1월 주택 분양 승인 현황
전국 주택 분양 승인 물량은 7,440호로 전년 대비 46.2% 감소하였습니다.

수도권: 3,617호 (전년 대비 54.2% 감소)
서울: 1,097호 (전년 대비 68.1% 감소)
비수도권: 3,823호 (전년 대비 35.5% 감소)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분양 물량이 크게 줄어든 것이 특징입니다.


4. 1월 주택 준공 실적
2025년 1월 전국 주택 준공 물량은 41,724호로 전년 대비 13.5% 증가했습니다.

수도권: 16,032호 (전년 대비 19.4% 감소)
서울: 4,762호 (전년 대비 16.9% 증가)
비수도권: 25,692호 (전년 대비 52.2% 증가)
비수도권에서 준공 물량이 크게 증가한 반면, 수도권은 감소한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


5. 미분양 주택 현황
2025년 1월 전국 미분양 주택은 72,624호로 전월 대비 3.5% 증가했습니다.

수도권: 19,748호 (전월 대비 16.2% 증가)
비수도권: 52,876호 (전월 대비 0.6% 감소)
특히 준공 후 미분양이 22,872호로 전월 대비 6.5% 증가하여, 주택 시장의 공급 과잉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6. 주택 매매 및 전월세 거래량
1월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38,322건으로 전월 대비 16.5% 감소, 전년 대비 10.9% 감소했습니다.

수도권: 17,846건 (전월 대비 11.8% 감소)
비수도권: 20,476건 (전월 대비 20.3% 감소)
한편, 전월세 거래량은 200,677건으로 전월 대비 7.9% 감소, 전년 대비 19.0% 감소하였습니다.

전세 거래량: 81,888건 (전년 대비 25.0% 감소)
월세 거래량: 118,789건 (전년 대비 14.2% 감소)
특히 월세 비중이 59.2%로 증가하면서, 임차 시장에서 월세 선호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7. 향후 부동산 시장 전망
이번 통계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전망을 해볼 수 있습니다.

수도권 공급 위축: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분양, 착공 물량이 감소하면서, 향후 공급 부족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미분양 주택 증가: 수도권 및 일부 지역에서 미분양이 늘어나면서, 분양 시장의 위축이 예상됩니다.
전월세 시장 변화: 전세 거래량이 줄어드는 반면, 월세 비중 증가가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부동산 시장에 관심 있는 분들은 이러한 동향을 참고하여, 보다 신중한 투자와 주택 마련 전략을 세우시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LIST